본문바로가기

Insight

We aim to provide our clients with intelligence,
future-directed information and analysis.

전 세계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전동화로 전환되면서, 배터리 공급망이 국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재생에너지 인프라 등은 모두 대용량 2차전지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산과 성능을 좌우하는 요인이 바로 리튬, 니켈, 코발트, 흑연,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안정적 확보다.

 

 

특히 2025년 들어 중국이 희토류 및 배터리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전 세계 희토류 정제 능력의 90% 이상, 흑연 가공 능력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리튬·코발트 정련 및 배터리 소재 전반에서도 압도적인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수출통제는 단순한 무역조치가 아닌, 지정학적 영향력을 활용한 공급망 전략적 무기화로 평가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수출통제 배경과 내용, 그로 인한 배터리 핵심광물 확보 경쟁의 변화, 주요 국가 및 기업의 대응 전략, 그리고 한국이 주목해야 할 시사점을 각각 정리해보려 한다.

 

​Contents


1.서론

2.배터리 공급망 구조 및 핵심광물
3.중국의 수출통제 조치 내용 및 배경
4.배터리 핵심광물 확보 경쟁의 변화
5.주목해야 할 시사점

6.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