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Insight

We aim to provide our clients with intelligence,
future-directed information and analysis.

Analogue(PBA) 양극재의 기술적 진화와 한계를 집중 조명한다. PBA는 저비용 원료와 간단한 합성 공정, 높은 이론 용량을 바탕으로 초기 연구개발 단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다뤄진 소재다.

특히 Mn–Fe 기반 PBA의 결정구조(rhombohedral–cubic 전이), 수분 제어 전략(zeolitic water vs. coordinated water), 배위수 리간드 치환, 그리고 고Na 조성(x≈2.0) 확보를 통한 고용량 구현 등이 상세히 분석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화 트렌드를 살펴보면, PBA가 연구자들에게는 여전히 매력적인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의 선택은 다르다.

CATL, HiNa, BYD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은 전기차용 SIB에서 layered oxide 계열을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만이 ESS·저전력형 응용을 중심으로 PBA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Polyanionic(인산염·플루오로인산염) 계열 역시 구조적 안정성과 긴 수명을 바탕으로 niche 시장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보고서는 PBA의 기술적 강점과 동시에 그 상용화 제약을 함께 드러내며, SIB 산업 내에서 연구개발 트렌드와 실제 상용화 지형 간의 간극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