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5년 1~9 글로벌 수소차 시장 전년 동기 대비 9.8% 역성장
-
현대차, 1~9 글로벌 수소차 판매 1위
2025년 1~9월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FCEV) 시장은 뚜렷한 침체 흐름 속에서 전년 동기 대비 9.8% 하락한
총 8,970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출처: 2025년 10월 Global
FCEV Monthly Tracker, SNE리서치)
기업별로 보면, 현대차는 넥쏘(NEXO)를 중심으로 총 4,994대를 판매하며 시장 1위를 유지했다. 지난 4월 2세대 넥쏘를
새롭게 출시하며 61.3%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도요타는
미라이(Mirai)와 크라운(Crown) 모델을 합쳐 955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41.6% 감소했으며, 일본 내에서도 53.6% 급감한 판매량을 보였다. 그럼에도 도요타는 수소차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한편, 중국 업체들은 승용차보다는 상용차에 집중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판매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혼다는 수소 승용차 모델로 2025년형 Honda CR-V e:FCEV를 미국과 일본에 출시하였으나 156대에
그쳤다. CR-V e:FCEV는 수소연료전지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능을 결합한 최초의 SUV로, 4.3kg 수소탱크와
17.7 kWh 배터리를 통해
EPA 기준 435km 주행이 가능하다.
(출처: 2025년 10월 Global
FCEV Monthly Tracker, SNE리서치)
국가별로는, 한국의 수소차 시장 점유율이 현대 넥쏘의 판매 호조로 과반의 점유율인 55.1%를
차지했다. 반면 중국은 상용차 중심의 수소차 전략을 앞세웠으나 한국에 밀려 2위에 기록됐다.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시장은 뚜렷한 위축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에서는 미라이와 넥쏘를 합쳐 559대 판매되며 전년 대비 19.9% 역성장을 기록했고, 미국에서도 미라이 판매가 대폭 줄어 59.0% 감소했다. 일본 시장 역시 미라이와 크라운 판매 부진으로 인해 35.8%의
하락폭을 나타냈다.
(출처: 2025년 10월 Global
FCEV Monthly Tracker, SNE리서치)
현대차는 2세대 넥쏘 공개와 함께 북미에서 XCIENT 수소 트럭의 판매, 서비스 채널을 정비하며 실수요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요타는 3세대 연료전지 시스템을 앞세워 승용 단독이 아닌 트럭, 버스의 요구도 충족하도록 설계했다. 중국 수소상용차 시장은 지방 보조와 물류업체 합작을 바탕으로 장거리 수소 트럭 노선과 허브 충전 인프라를 빠르게 늘려왔으나, 보조금 체계가 전환 구간에 들어가며 인도 지연과 TCO 부담이 커져 수요가 위축되었다. 전반적으로 수소차 시장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열쇠는 충전 인프라 확장 속도와 장기적인 보조정책의 지속성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