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Insight

We aim to provide our clients with intelligence,
future-directed information and analysis.

제목: 16 KABC 2025, 9 17~18일 서울 개최

 

-       글로벌 배터리 산업 전환기, 전략과 해법 모색의 장

 

 

 

SNE리서치는 오는 2025 9 17()부터 18()까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16 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 2025(KABC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5년은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 있어 중대한 변곡점으로 평가된다.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 중국 LFP 배터리의 급격한 확산, 트럼프 행정부 재집권에 따른 미국 정책 변화 등은 국내 배터리 업계에 새로운 도전과 과제를 안기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고성장을 이어온 산업 구조는 재편 압력에 직면했으며, 글로벌 경쟁의 규칙 또한 달라지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 배터리 산업의 생존 전략과 글로벌 리더십 확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 밸류체인의 핵심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여해 정책 변화의 영향, ·후방 생태계 대응,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주요 프로그램

 

▶ 9 17() – 배터리 산업 및 셀 메이커 전략

 

     

  • 기조강연: 신영준 석좌교수(가천대) – 한국 이차전지의 현재와 나아갈 길
  •  

  • 김광주 대표(SNE리서치) – 중국 벤치마크를 통한 한국 배터리 생존 전략
  •  

  • 박병천 부문담당(LG에너지솔루션) – LG에너지솔루션의 글로벌 배터리 리더십
  •  

  • 박난아(삼성SDI) – 삼성SDI의 차세대 배터리 개발 동향

 

·         Dr. Li Limiao, Head of Advanced Battery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ALB) – Recent development and new trends on phosphate-based Li-ion batteries (Ultra-fast charging LFPs and advanced LMFPs)

 

·         Fred Lee 위원장(NAATBatt) – 미국 배터리 산업 정책 분석 및 전망 그리고 Opportunity

 

     

  • 오동조 상무(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및 배터리 시스템 개발 동향
  •  

  • 이두연 부사장(SNE리서치) – 차세대 전기 기술 개발 현황 및 어플리케이션 확대 전략

 

▶ 9 18() – 소재·ESS 및 차세대 기술

 

     

  • 홍정진 연구소장(포스코홀딩스) –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소재 사업 (양극재, 음극재, 전고체전지용 소재, 리사이클링)의 개발 방향
  •  

  • 임종찬 부사장(대주전자재료) – 대주전자재료의 실리콘 음극재 사업 개발의 방향
  •  

  • 이안나 연구원(유안타증권) – 배터리 산업 현황 진단 및 극복 방안
  •  

  • Hu Qichao, CEO(SES) – Unlocking the Full Value of AI-Empowered Platforms in Accelerating Next-Gen Battery Innovation (Zoom 영상 발표)
  •  

  • 오정강 대표(Enchem) – Tier1 전해액 업체의 차세대 배터리용 전해액 사업 추진 전략
  •  

  • 김상훈 시니어개발엔지니어(Imerys) – 고성능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첨가제의 진화
  •  

  • 황지상 CTO(필에너지) – 배터리 혁신을 이끼는 레이저 기반 제조장비 기술
  •  

  • 최대희 사업담당(효성중공업) – Global ESS 사업의 이해 및 효성의 전략
  •  

  • 서장철 상무(LS ELECTRIC) – LS ELECTRIC DDD(직류-분산-디지털)솔루션

 

해외 연사의 발표는 영어로만 진행되며, 통역은 제공되지 않는다.

 


 

등록 안내

 

현재 컨퍼런스는 사전등록 기간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9 12()까지 SNE리서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KABC 2025는 급변하는 글로벌 배터리 산업 속에서 한국 기업이 나아가야 할 전략을 논의하는 장이라며 참가자들에게 업계 리더들과의 직접 교류 및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