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LIB 전해액 용매 기술동향 및 시장전망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EV)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이
차세대 에너지 패러다임을 선도하면서, 리튬이온 2차전지 시장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전해액의 용매 기술은 배터리의 성능, 안정성, 수명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인 만큼, 업계 전반에서 연구와 개발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최근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은 자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과 기술 독립화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merica First’ 정책과 온쇼어링 기조가 강해지면서 미국과 유럽 내 현지 생산 및 기술 내재화에 대한 요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해액 시장의 용매 부문 역시 기술 자립,
고순도·고기능성 용매 개발이 글로벌 기업들의 주요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은
막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 주도의 산업 육성 정책을 앞세워 EC, DMC, EMC 등 주요 용매 소재
생산과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미국과 유럽에서는 친환경 제조 공정, 배터리 재활용 등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용매 개발과 생산이 중요한 시장 트렌드로 떠오른다. 이에 한국과 일본 용매 전문 기업들도 고순도 분리정제, 잔류수분
및 불순물 제어, 저점도·고안정성 용매 생산 기술 고도화에
힘을 쏟으며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본
리포트는 2025년을 맞아 전해액 용매 시장 및 기술 동향, 글로벌
공급망 재편 현황, 주요 업체별 전략 변화, 강화되는 환경
규제와 탄소 중립 정책 아래 소재 개발 트렌드까지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또한 글로벌 수급 현황과 시장
전망, 신기술, 주요 기업별 투자와 확장 추이, 전고체·리튬황 등 차세대 전지 적용을 위한 특수 용매 개발 동향도
폭넓게 다루었다.
더불어
미국, 유럽, 중국, 한국, 일본 등 주요 국가별 용매 생산 및 수급 동향, 유망 용매 신기술, 유기합성 트렌드, 고기능성 첨가제의 용매화 동향, 특허 및 투자 현황 등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배터리
소재 시장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처럼
글로벌 환경 변화와 기술 진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전해액 용매 관련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소재 공급망의 현지화와 기술 내재화를 통해 시장 리스크에 대응하고, 고부가가치 및 차세대 배터리에 대응하는 용매 개발로 기술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또한, 친환경 공정 구축과 선제적 규제 대응을 통한 사업 지속성
확보, 핵심 파트너사와의 협력 및 신시장 개척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도 힘써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보고서의
Strong point
1. 용매(EC, DMC, EMC, DEC 등)별 기술 특성과 제조공정, 시장 동향 등 전반적인 정보 수록
2. 차세대 전지 적용을 위한 용매 개발 동향 심층 분석
3. 주요 글로벌 공급망, 플레이어별 생산능력, 신규 진출 현황 등 구체적 데이터 제공
4. 2025년 이후 전해액 용매 시장 전망 및 당사 데이터 기반 예측 정보 제공
<글로벌 카보네이트 용매 시장 수요 전망 (단위: 천 톤)>
[목 차]
서론
1.1 배경
1.2 리튬이차전지 전해액 개요
1.3 용매 기능 및 특징
용매 기술 연구 동향
2.1 환형 카보네이트
2.1.1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2.1.2 에틸렌 카보네이트(EC)
2.1.3 FEC에 의한 가스 발생
2.2 선형 카보네이트
2.2.1 선형카보네이트에 의한 전해액 점도 및 이온전도도
2.2.2 DMC 용매에 의한 가스 발생
2.2.3 에스테르 용매 첨가를 통한 이온전도도 향상
2.2.4 전지의 고속충전 성능에 대한 에스테르 용매 효과
2.2.5 선형 카보네이트의 분자 설계 전략
2.3 고전압 양극재용 용매 기술
2.3.1 유기용매의 불소화
2.3.2 설폰계 유기용매
2.3.3 니트릴계 유기용매
2.4 고엔트로피 전해액용 용매 기술
2.4.1 여러 개의 용매 도입을 통한 고엔트로피 전해질
2.5 고출력 전해액 용매 기술
2.6 극한온도 구동 전해액 용매 기술
2.6.1 저온 구동 가능 용매
2.6.2 고온 구동 가능 용매
2.6.3 넓은 온도 범위 구동 가능 용매
2.7 난연성 전해액 용매 기술
2.7.1 불소화 용매
2.7.2 인(P) 기반 용매
용매 제조기술
3.1 용매 제조기술 개요
3.1.1 카보네이트용매 제조기술 - 과거, 현재
3.2 에스테르 교환법
3.2.1 제조공정 흐름도 및 특징
3.2.2 사례: DMC 제조 (Shinghwa)
3.2.3 사례: DEC, EMC 제조 (Shinghwa)
3.3 메탄올 산화 카르보닐화법
3.3.1 제조공정 흐름도 및 특징
3.3.2 사례: DMC 제조 (UBE)
3.3.3 사례: DMC 제조 (Dow)
3.4 배터리급 용매 제조법
3.4.1 배터리급 용매 정제 기술
3.4.2 배터리급 용매 제조 특허 분석
3.5 CO2 재활용
3.5.1 PC 생산 공정에서의 CO2 활용
3.5.2 CO2의 친환경적 전환을 통한 DMC 합성
용매 시장 동향 및 전망
4.1 시장 개요
4.1.1 글로벌 전기차 판매 전망
4.1.2 글로벌 배터리 수요 전망
4.1.3 글로벌 전해액 수요 전망
4.2 글로벌 용매 수요 현황 및 전망
4.2.1 글로벌 용매 산업별 수요 및 성장 전망
4.2.2 글로벌 카보네이트 용매 수요 전망
4.2.3 주요 지역별 용매 수요 - 중국, 북미, 유럽, 동북아, 기타
4.3 용도별 용매 수요 현황 및 전망
4.3.1 전기차용 용매 수요
4.3.2 ESS용 용매 수요
4.3.3 CE 및 기타 용도 용매 수요
4.4 용매 가격 추이 및 전망
4.4.1 고리형 카보네이트 용매 가격 전망
4.4.2 사슬형 카보네이트 용매 가격 전망
4.5 용매 시장 규모 및 공급 전망
4.5.1 카보네이트 용매 시장 규모
4.5.2 글로벌 용매 생산능력 전망
4.5.3 글로벌 용매 수급 전망
4.5.4 북미 용매 생산능력 (대중국 정책
영향 가정)
4.5.5 북미 용매 수급 시나리오 (대중국
정책 영향 가정)
용매 제조업체 현황
5.1 중국 업체
5.1.1 Shinghwa Advanced Materials
5.1.2 Hi-Tech Spring
5.1.3 Hualu Hengsheng
5.1.4 Capchem
5.1.5 Liaoning Oxiranchem
5.1.6 Hengli Petrochemical
5.1.7 Yulin Chemical
5.1.8 Satellite Petrochemical
5.2 비중국 업체
5.2.1 UBE (JP)
5.2.2 Asahi Kasei (JP)
5.2.3 Lotte Chemical (KR)
5.2.4 Huntsman (US)